인공지능의 아버지 앨런 튜링, 이미테이션게임 영화의 주인공

앨런 튜링은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수학자, 암호학자, 논리학자 중 한 명으로, 컴퓨터 과학의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튜링 기계, 튜링 테스트, 범용 컴퓨팅 개념 등을 통해 현대 컴퓨터 과학의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앨런 튜링 사진

A-Dic

  • 튜링 기계(Turing Machine): 튜링 기계는 1936년 튜링이 제안한 추상적 계산 모델로, 모든 계산 가능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론적 장치를 의미합니다. 이는 현대 컴퓨터의 기본 구조와 작동 원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으로, 컴퓨터 과학의 핵심 이론 중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 튜링 테스트(Turing Test): 1950년에 튜링은 논문 “Computing Machinery and Intelligence”를 통해 튜링 테스트(Turing Test)를 제안했습니다. 이 테스트는 기계가 인간처럼 지능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방법으로, 인공지능 연구의 중요한 기준이 되었습니다.

A-Media

말을 이해하는 것이 어떤 일인지 생각하는 데 빠트릴 수 없는 중요한 연구를 소개합니다. 바로 1950년, 영국의 교육자 앨런 튜링이 발표한 논문 <기계가 지성을 가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테스트>지요.4 인공지능 연구는 이 연구로부터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튜링은 기계가 지성을 가졌는지 여부를 어떻게 파악하면 좋을지 고민했습니다. 그가 내린 결론은 이렇습니다.
 
“만약 기계에게 인간과 구별하기 어려울 만큼 대화가 가능한 능력이 생긴다면, 그 기계는 지성을 가졌다고 판단해도 좋다.”
 
튜링은 이런 결론을 토대로 기계의 지성을 판단하는 테스트를 고안했는데, 그것이 바로 튜링 테스트입니다.
튜링 테스트에는 질문하는 인간, 대답하는 인간, 대답하는 기계, 이렇게 셋이 필요합니다. 대답하는 사람과 대답하는 기계는 질문하는 사람이 볼 수 없는 곳에 배치됩니다. 질문하는 사람은 (예를 들면 키보드 입력 등의 방법을 통해) 대답하는 사람과 대답하는 기계에게 말을 걸고 그들의 반응을 살핍니다. 이런 반복으로 얻을 수 있는 대화를 통해 질문하는 사람이 보기에 ‘어느 쪽이 사람이고 어느 쪽이 기계인지 구별할 수 없다’면 그 기계는 지성을 가졌다고 판단합니다.

여러분은 이 테스트를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런 테스트로 지성의 유무를 판단할 수는 없다고 생각하실 분도 적지 않을 겁니다. 실제로 튜링이 이 테스트를 발표했을 당시에도 많은 반론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튜링은 발표 후 펼쳐질 반론에 대한 반론을 미리 준비하고 있었죠. 그중에서도 가장 강력한 주장은 다음과 같이 요약됩니다.

우리 인간끼리도 상대가 정말로 지성을 가졌는지를 판단하려면 그의 행동을 보고 추측할 수밖에 없다. 행동을 보고 판단한다는 것을 부정한다면 궁극적으로 ‘나 이외의 사람은 모두 지성을 갖지 못했다’라는 독단론적 결론에 빠지고 말 것이다.”

게으른 족제비와 말을 알아듣는 로봇 – 카와조에 아이

1912년 영국 런던에서 태어난 앨런 튜링이 20세기 전반기에 이룬 업적은 오랫동안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다. (국가적) 비밀이었거나 시대를 너무 앞서간 탓이었다.

1935년 20대 초반의 나이에 케임브리지대 펠로 연구원이 된 튜링은 이듬해 발표한 논문에서 현대 컴퓨터의 기원이 되는 ‘튜링 기계’라는 개념을 제안하였다. 당시 그 가치를 알아볼 수 있는 사람은 전문가 중에서도 극소수였다. 2차 세계대전 중에는 독일군의 암호인 에니그마를 깨는 데 큰 공헌을 한다.

이 과정에서 세계 최초의 컴퓨터 콜로서스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전쟁 중의 모든 활동은 30여 년간 비밀에 부쳐져야 했다.

가장 유명한 튜링의 업적이라면 인공지능의 개념과 구현할 방법을 확립한 논문 「계산 기계와 지능」(1950)이 손꼽힌다. 이 논문에서 그는 튜링 테스트와 머신 러닝이라는 참신한 아이디어를 제안하였고, 후대 컴퓨터 공학은 이를 토대로 오늘날 인공지능의 상당한 현실화에 이르렀다. 튜링은 이 논문에서 20세기 말이면 인공지능이라는 생각이 보편성을 얻으리라고 내다보았다.

1954년 6월 7일 튜링은 시안화물 중독으로 사망했다. 자살로 알려져 있다. 당시 그는 성소수자 정체성을 드러냈다는 이유로 사법적 처벌을 받아 고통스런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앨런 튜링 지능에 관하여 – 노승영 옮김
앨런 튜링 논문 표지 사진
계산 기계와 지능 – 철학 학술지 MIND(59권 236호, 1950년)

앨런 튜링의 인생 스토리

크리스토퍼 모컴(Christopher Morcom)과의 관계

튜링은 1930년대 초반, 케임브리지에서 모컴을 만났습니다. 둘은 수학과 과학에 대한 열정을 공유하며 친밀한 우정을 쌓았습니다. 튜링은 모컴에 깊은 애정을 느꼈고, 이는 그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모컴은 1930년 2월에 결핵성 우유를 마시고 사망하면서 튜링에게 큰 슬픔을 남겼습니다 .

모컴의 죽음은 튜링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그의 학문적 열정과 연구에 더욱 집중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튜링은 모컴이 죽은 후에도 그에 대한 강한 감정을 유지했으며, 이는 그의 작업에 깊은 영감을 주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중 암호 해독

튜링은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영국의 암호 해독 조직인 블렛츨리 파크(Bletchley Park)에서 일하며 독일의 에니그마(Enigma) 암호를 해독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습니다. 그의 기여로 인해 전쟁의 승리를 앞당기고 수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었습니다. 튜링은 특히 에니그마 해독을 위한 전자 기계인 봄브(Bombe)를 개발하였습니다.

고난과 성정체성

앨런 튜링은 동성애자로, 당시 영국 사회에서는 동성애가 불법이었습니다. 튜링은 1952년에 동성애 혐의로 기소되었고, 법정에서 유죄 판결을 받아 화학적 거세를 받아야 했습니다. 이 사건은 그의 삶과 경력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는 1954년에 비극적으로 자살했습니다 .

문화적 영향과 명예 회복-이미테이션게임

튜링의 이야기는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The Imitation Game)”을 통해 널리 알려졌습니다. 이 영화는 튜링의 에니그마 해독 작업과 함께 그의 개인적인 삶과 사랑 이야기를 조명하며 그의 천재성과 인간적인 면모를 그렸습니다. 또한, 영국 정부는 2009년에 그에게 공식 사과를 했고, 2013년에 앨런 튜링에 대한 사면이 이루어졌습니다 .

정리하기

앨런 튜링의 인생은 수학적 천재성과 더불어 그의 개인적인 고난과 영웅적인 업적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크리스토퍼 모컴과의 관계는 튜링에게 깊은 감정적 영향을 주었고, 이는 그의 학문적 열정을 더욱 불타오르게 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에니그마 암호를 해독한 그의 공로는 전쟁의 승리를 앞당기고 수많은 생명을 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그러나 그의 성정체성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었고, 이는 그의 삶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튜링의 이야기는 그의 비극적인 죽음 이후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었고, 그의 업적은 현대 컴퓨터 과학과 인공지능 연구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을 통해 그의 삶과 사랑 이야기가 널리 알려졌고, 영국 정부는 그의 공로를 인정하여 공식적으로 사과하고 사면을 발표했습니다. 튜링의 유산은 그의 천재성과 인간적인 면모를 기리며, 앞으로도 과학과 기술 발전에 영감을 줄 것입니다.

Similar Posts